[뉴스메이커] 윤대통령이 극찬한 '챗GPT'<br /><br />뉴스 속 주인공을 만나보는, 입니다.<br /><br />인공지능 기술로 문장을 작성하는 챗봇인 챗GPT가 전 세계적 인기를 끌면서 AI 챗봇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출시된 지 두 달 만에 하루 이용자만 천 만 명을 넘어선 챗GPT를 오늘의 뉴스메이커에서 만나봅니다.<br /><br />"정말 훌륭하더라" 윤 대통령이 최근 행안부 등으로부터 새해 업무보고를 받던 중 인공지능 챗봇, 챗GPT를 거론하며 한 말입니다.<br /><br />윤 대통령은 올해 신년사를 챗GPT에게 써보도록 했더니 정말 훌륭했다며, 앞으로 공직자들 역시 각종 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행안부가 잘 이끌어달라고 지시했는데요.<br /><br />윤 대통령까지 나서서 챗GPT를 극찬하자, 챗GPT 기술의 실체에 대한 관심이 더욱 뜨거워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챗GPT는 미국의 비영리 연구소인 오픈AI가 개발한 대화형 AI 챗봇입니다.<br /><br />챗GPT는 딥러닝을 통해 스스로 언어를 생성하고 추론할 능력을 지니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시행착오를 거쳐 최적의 방법을 터득하는 방식인 '강화학습' 기법으로 스스로 오류를 바로잡고 잘못된 전제를 지적할 수 있는 능력까지 설계됐습니다.<br /><br />이로써 챗GPT는 높은 수준의 연설문, 소설, 음악 창작과 더불어 프로그래핑 언어로 애플리케이션 개발도 가능한데요.<br /><br />때문에 고학력 비서들을 여럿 채용한 것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챗GPT는 세계적인 베스트 셀러 작가인 유발 하라리에게 충격을 안겨준 일화로도 유명한데요.<br /><br />유발 하라리는 자신의 대표작인 사피엔스의 출판 10주년 서문을 GPT에게 작성하도록 했는데, 자신의 글과 큰 차이가 없는 수준의 글을 작성해내 큰 충격에 빠졌다고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챗GPT의 놀라운 기술력과 돌풍적 인기에 부작용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최근 미국 로스쿨과 명문대 시험에서 챗GPT로부터 얻은 답변을 제출해 합격점을 받았다는 악용 사례가 이어지면서 규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인간의 창작 영역까지 넘보고 있는 AI 챗봇의 진화가 가속되는 가운데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대비도 중요해 보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'뉴스메이커'였습니다.<br /><br />#챗GPT #챗봇 #뉴스메이커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